백선하ㆍ장진아 교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활용 정밀한 BBB 재현
VE-cadherin 배열이 BBB 기능과 신경염증에 미치는 영향 규명

(왼쪽부터) 슬롯 백선하 교수, POSTECH  장진아 교수·한호현 박사과정 / 사진=슬롯
(왼쪽부터) 슬롯 백선하 교수, POSTECH 장진아 교수·한호현 박사과정 / 사진=슬롯

서울대병원은 포스텍(POSTECH) 연구팀과 최근 '인간 뇌슬롯 장벽(Blood-Brain Barrier⦁BBB)'을 정교하게 모사한 3D 모델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서울대병원 측은 이 모델이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2D 모델보다 더 정밀하게 뇌슬롯 장벽을 재현하며, 신경퇴행성 질환의 연구와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뇌슬롯 장벽은 뇌를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하고,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통로로 작용하는데,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에서는 뇌슬롯 장벽이 손상되거나 염증이 발생해 질병이 악화된다.

이 문제점에 착안해 서울대병원 백선하 교수와 포스텍 장진아 교수 및 한호현 박사과정 등 연구팀은 'CBVdECM(Cerebrovascular-Specific Extracellular Matrix)'이라는 탈세포화 세포외기질을 활용해 뇌슬롯 장벽을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는 '3D 바이오잉크'를 개발했다. 이 바이오잉크는 돼지의 뇌와 슬롯에서 유래한 세포외기질로, 뇌슬롯 장벽의 특성을 잘 재현할 수 있다.

뇌슬롯 특이적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구현된 관형 구조에서 유도된 세포들이 자가 조립하여 뇌슬롯 장벽의 이중층 구조를 형성한다.
뇌슬롯 특이적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구현된 관형 구조에서 유도된 세포들이 자가 조립하여 뇌슬롯 장벽의 이중층 구조를 형성한다.

연구팀은 새롭게 개발된 3D BBB 모델을 이용해 뇌슬롯 장벽이 염증 물질(TNF-α, IL-1β)과 상호작용할 때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염증 반응이 뇌슬롯 장벽에 영향을 미쳐 신경퇴행성 질환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과정을 재현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2D 모델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밀착연결 단백질(VE-cadherin)의 배열과 조직화 과정을 3D 모델을 통해 명확히 재현했다.

서울대병원 백선하 신경외과 교수는 "이 3D BBB 모델은 기존의 2D 모델보다 더 정교하고 실제에 가까운 뇌슬롯 장벽을 재현하고 있고, 신경염증이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며 "이를 통해 신경퇴행성 질환의 기전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스텍 장진아 교수(기계공학과, 생명공학과, IT융합공학과, 융합대학원)는 "향후 아교세포, 뉴런, 면역세포 등을 추가로 통합해 더 정밀한 염증 반응 및 BBB 투과성 정량화 기술을 개발하고, 환자 맞춤형 질환 모델을 확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국제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 리서치(Biomaterials Research)’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