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HIT |
'통합'과 '인수'는 OCIㆍ오리온의 '투자'의 포장지는 아니었나
시너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 있어야 '글로벌 빅파마' 탄생한다
제약바이오 산업을 취재하는 이 땅의 기자들은 저번 주 금요일부터 최고로 정신없는 한 주를 보내고 있다. 제약산업사를 통틀어 전례를 찾기 힘든 이종산업 간 통합과 인수가 이뤄졌다. OCI와 한미사이언스(이하 한미)가 얼싸안는 광경을 넋 놓고 보고 있는데, 몇 일 후에 오리온이 나타나 파라오 슬롯(이하 레고켐)를 낚아챘다. 사건이 준 임팩트로 치자면 OCI-한미 건에 준한다.
이 일련의 사건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 것일까. 당사자인 4개사와 많은 매체들은 이미 해답지를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OCI와 한미는 이번 딜을 '통합'과 '시너지'라는 표현으로 감쌌다. 오리온과 레고켐의 사례에도 비슷한 수사가 곁들여지고 있다. '인수', '올인', '품었다'는 표현들이 왕왕 보이고 있다.
독한 향수를 뿌리면 머릿속이 멍해지듯, 범람하는 수사들은 안개가 돼 우리 눈 앞을 메우고 있다. 사건의 본질에 다가서려면 표현을 걷어내고 행위 자체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통합'과 '시너지'를 걷어낸 OCI와 한미, '인수'를 걷어낸 오리온과 레고켐에는 무엇이 남는지 짚어내면 해석도 예측도 심플해질 터다.
OCI-한미 통합이란 방정식의 양변에는 지분 교환, 주식양수도 계약, 3자배정 유상증자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다만 해석에 많은 디테일이 필요하진 않다. 양사는 지분 교환으로 서로의 주식을 가지게 됐고, 한미사이언스는 주식양수도 계약과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OCI로부터 2775억원을 받는다. 그러니까 어느 부분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이 딜의 해석이 달라진다. 양사가 이야기하듯 지분 교환에 포커스를 두면 '통합'이 보인다. 그러나 2775억원에 포커스를 두면 '투자'와 '상속세'가 보인다.
딜의 본질에 '통합'이 있는 것인지, '투자'와 '상속세'가 있는 것인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식의 문제다. 통합을 하기 위해 투자를 한 것이라면, 통합이란 낱말은 표현에 그치지 않고 양사의 진심을 대변하게 된다. 하지만 OCI가 한미사이언스에 투자를 하고, 거기서 생기는 2775억원으로 한미의 상속세를 해결하는 것이 먼저였다면, 통합이란 낱말은 이 행위를 묘사하는 표현에 그치고 만다.
오리온과 레고켐에도 같은 시선을 던져본다. 오리온은 김용주 레고켐 대표의 지분 절반을 가져오는 대가로 786억원을 건넨다. 또 3자배정 유상증자로 레고켐의 신주를 받는 대가로 4698억원을 추가로 건넨다. 지분 확보에 집중하면 '인수'가 보이지만, 건네진 돈을 보면 '투자'가 보인다. 역시나 어느 쪽이 이 딜의 본질이었는지는 쉬이 파악하기 힘들다. 인수를 위해 투자한 것인지, 투자를 한 결과가 인수라는 낱말로 묘사된 것뿐이었는지는 양사의 대표들과 소수의 인원만이 알 터다.
구태여 딜의 본질을 논하는 이유는 4개사의 미래를 그려보기 위함이다. 무엇이 본질이었느냐에 따라, 글로벌 빅파마로 도약하기 위한 마법인 '시너지'의 존재 여부가 갈린다. OCI와 한미가 진정 통합되는 것이라면, 오리온이 레고켐을 진정 인수하는 것이라면, 각자의 장기를 살리고 합쳐 1 더하기 1은 10이라는 마법을 휘두를 수 있다. 그렇다면 마법을 위한 주문, 통합과 인수는 제대로 외워졌을까.
적어도 시장은 그렇지 않았다고 판단한 듯하다. OCI홀딩스와 오리온의 주가는 연일 하락세다. 한미사이언스와 레고켐의 주가는 반짝 오르곤 다시 꺼졌다. 그 배경엔 시너지에 대한 의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통합이 통합다울 수 있을지, 인수가 인수다울 수 있을지 묻는 이들이 적지 않다. 결국 OCI와 오리온은 많은 대기업들이 해온 일을 답습한 건 아닌지 묻게 된다. 제약파라오 슬롯 산업을 '미래 먹거리', '추가 수익 파이프라인' 정도로만 본 것은 아닌가? 혹여, 투자만 해 두면 알아서 커서 돈을 벌어다 줄 것이란 계산이 앞섰던 건 아니었는가? 돈 말고도 투입하려 하는, 기존 사업에서 끌어와 더할 수 있는가치가 있는가?
'한국형 바이엘', '한국형 머크'라는 기대감 넘치는 표현이 구호에 그치지 않으려면, OCI와 오리온은 기업 간 시너지에 대해 깊이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이종산업 사이의 연합은 글로벌 제약산업사에서도 매우 드문 일임을, 드문 데에는 이유가 있음을 다시 한 번 곱씹어야 한다. 한 달에도 몇 번이고 이뤄지는 글로벌 제약파라오 슬롯 인수합병(M&A)은 거진 제약사가 제약사와 합쳐지는 형태다. 서로의 사업을 이해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시너지를 그린다. 분명, 통합ㆍ시너지ㆍ인수란 표현은 단순히 지분을 사들이고 교환하는 행위에 마구 붙일 수 없다.
그러나 드문 일이라 해서, 글로벌 회사들은 하지 않는 일이라 해서 실망하는 건 촌스럽다. 오히려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 전략을 취하기만 했던 우리 한국이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될 기회다. 걱정을 딛고 '통합'과 '인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이뤄진다면, 전례 없는 일로 전례 없는 시너지를 내는 즐거운 상상도 가능하다.
과연 화학-제약, 식품-파라오 슬롯의 만남은 모래에 설탕이 섞여 양만 늘린 구조로 끝날까? 아니면 나트륨과 염소가 만나 소금이 되는 진정한 변화를 이룰까? 상상력의 한계에 부딪힌 우리에게 이들 4개사가 보여줄 미래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