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차손 때문에 파라오 슬롯 유지 요건 충족 못 시키는 벤처가 8할이라니

파라오 슬롯

'법차손 딜레마'에 빠진 K기술특례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

[끝까지HIT 8호]2023년 내내 비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에 대한 투자심리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는 세밑 한파 추위에 비견할 만한 '법차손'이라는 커다란 암초를 맞닥뜨리고 있다.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의 줄임말인 법차손은 한 해를 마무리하는 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들에는 서슬퍼런 칼날과도 같다. 그도 그럴 것이 파라오 슬롯된 바이오텍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 주요 사유 중에서 법차손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기술특례파라오 슬롯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바이오 벤처 중에서 법차손 발생에 대해서 3년간의 유예 기간을 부여하는 특례가 적용되는데, 이 유예기간이 지나도록 파라오 슬롯 유지 조건을 미충족하는, 즉 법차손이 발생하는 바이오 벤처가 거의 대부분이다. 다시 말하면 법차손이 발생한 데 따라 그 결과 관리종목에 지정될 우려가 큰 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가 계속 나올 수도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끝까지 HIT는 기술특례로 코스닥에 파라오 슬롯한 바이오 벤처 앞에 놓여 있는 '법차손 딜레마'에 대해 살펴봤다.2023년말 발행된<끝까지HIT 8호에 게재된 이 기사는 2023년을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①기술특례파라오 슬롯 법차손 현황

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 3곳 관리종목 지정
회피 위한 자금 조달 성공

법차손 딜레마를 살펴보기 위해선 먼저 기술특례파라오 슬롯제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코스닥 기술특례파라오 슬롯제도는 현재 실적은 미미하나 기술성 및 시장성을 갖추고 성장잠재력이 기대되는 기업이 기업공개(IPO)를 통한 자금 조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기술 특례파라오 슬롯제도는 2005년 처음 도입됐다. 당시 코스닥 파라오 슬롯요건으로 수익성 요건(ROE, 경상이익)이 존재해 이익이 없을 경우 파라오 슬롯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많은 연구개발(R&D)이 필요해 실적 시현까지 다른 산업 대비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바이오 벤처의 경우 자금 조달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수익 가능성이 있도록 바이오 벤처가 성장할 수 있게끔 만들기 위해 지금 당장은 이익이 없는 벤처도 파라오 슬롯이 가능하도록 기술특례파라오 슬롯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올해 9월말에 발간한 '기술평가 특례파라오 슬롯 바이오헬스 기업에 대한 파라오 슬롯 유지 요건의 적정성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기술특례파라오 슬롯제도가 2005년 도입된 이후 올해 5월까지 코스닥 시장에 파라오 슬롯한 바이오헬스 분야 기업은 177개 그리고 광의의 바이오헬스 분야 기업은 34개로 파악됐다. 바이오헬스 분야 177개 기업 중 89개 기업은 기술특례파라오 슬롯 기업, 일반파라오 슬롯 기업은 70개, 그리고 나머지 18개 기업은 성장성 추천 특례, 이익미실현 특례, 사업모델 특례파라오 슬롯 등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사진 설명: 한국거래소 내부 자료와 기업공시채널(KIND) 탑재 자료 기반 / 출처 : '기술평가 특례상장 바이오헬스 기업에 대한 상장 유지 요건의 적정성 분석' 보고서
사진 설명: 한국거래소 내부 자료와 기업공시채널(KIND) 탑재 자료 기반 / 출처 : '기술평가 특례파라오 슬롯 바이오헬스 기업에 대한 파라오 슬롯 유지 요건의 적정성 분석' 보고서

기술특례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의 경우 영업손실 발생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10억원 미만 발생으로 파라오 슬롯 유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특히 기술특례파라오 슬롯 바이오헬스 기업의 경우 그 비율이 무려 각각 약 84%와 86%로 분석됐다. 게다가 비(非)바이오헬스 분야 기술특례파라오 슬롯 기업의 경우에서도 그 발생 비율이 각각 약 57%와 48%로, 바이오헬스 분야 일반파라오 슬롯 기업의 발생 비율보다 약 2배 이상 높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무엇보다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경우도 기술특례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가 일반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보다 5배 이상 높은 17% 수준에서 파라오 슬롯 유지 조건을 미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파라오 슬롯 유지 조건을 미충족했다는 의미는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발생했다는 의미이다.

한국거래소 파라오 슬롯규정에 따르면, 자기자본 대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비율이 최근 3개 사업연도 중 2개 사업연도에 50%를 넘으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다만 기술특례파라오 슬롯 기업은 해당 지정 사유에 대해 3년간 면제해 준다. 즉 2018년 9월 이전에 기술특례파라오 슬롯된 기업들은 유예기간이 종료돼 최근 3년(2021~2023) 사업연도가 모두 적용 기준에 포함됐다. 이 기준에 포함된 기업은 20곳 안팎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올해 법차손 발생으로 인해 관리종목 지정 가능성이 큰 곳은 대략 3곳(큐리언트, EDGC, 올릭스) 정도다.

위 3곳 모두 올해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 비율이 50%를 넘지 않아야만 관리종목 지정 사유를 피할 수 있다. 큐리언트와 EDGC는 작년에, 올릭스는 재작년인 2021년에 법차손 비율이 50%를 넘었기 때문이다. 법차손 비율을 낮추려면 손실을 줄이던지 자기자본을 늘리면 된다.

큐리언트는 12월 19일 이사회를 열고 임상 비용 등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25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주금 납입일은 같은달 27일이다. 59만여주의 전환우선주(CPS)를 남기연 대표와 유창연 부사장 등 3인에게 발행하는 구조다. 큐리언트는 동시에 35억원 규모의 제1회차 사모 영구 전환사채를 발행하기로 이사회에서 결의했다. 주금 납입일은 유상증자와 동일한 12월 27일이다. 전환사채 발행 대상자는 프리미어파트너스다. 큐리언트는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연말에 총 60억원의 자금 조달에 성공하는 셈이다. 큐리언트의 올해 3분기말 기준 법차손 비율은 91%다. 자기자본(자본총계) 196억원에 법차손 179억원이다. 아직 연간 법차손 규모를 추정할 수는 없지만, 자기자본이 60억원 정도 늘어난다는 점에서 법차손 비율도 어느 정도 낮아질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EDGC는 지난 8월 18일 이사회를 열고 총 894억원 규모의 주주 우선 공모 유상증자를 단행하기로 결의했다. 하지만 실제 조달 금액은 약 163억원에 그쳤다. EDGC의 3분기말 기준 법차손 비율은 77%로, 자기자본(자본총계)가 약 267억원 법차손은 205억원에 달했다. 유상증자를 통해 163억원을 조달하면서 어느 정도 법차손 비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올릭스도 12월 7일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236억원 규모의 제2회차 사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 주금 납입일은 같은달 15일이었고, 정상적으로 납입이 완료됐다. 전환사채 발행 대상자는 2곳의 기관투자자 펀드였다. 이와 함께 올릭스는 GalNAc-asiRNA 기술을 이용한 Collaboration and License Agreement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를 수령할 예정이라고 12월 7일 공시했다. 다만 수령 금액은 비공개로 했다.그러면서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93억원)의 10% 이상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보다 앞선 11월 27일에도 'OLX301A'관련 마일스톤 기술료를 수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역시 수령 금액은 비공개로 부쳤다. 다만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93억원)의 10% 이상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전환사채 발행 및 마일스톤 수령으로 인해 올릭스에 연말에 최소 250억원 이상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릭스의 3분기말 기준 법차손 비율은 51%인데, 앞선 2곳보다는 그 비율이 낮은 데다 대규모 자금 유입이 예상되는 만큼 관리종목 지정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파라오 슬롯

기술특례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

3년의 법차손 유예기간 너무 짧아… 2년 연장 대안

기술특례파라오 슬롯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하는 바이오 벤처는 뛰어난 기술력 내지는 주력 파이프라인의 성공 가능성 등을 인정받아 증시에 파라오 슬롯한다. 비파라오 슬롯 당시에는 주로 기관투자자들로부터 투자를 받아 R&D에 주력해 왔지만, 파라오 슬롯 이후에는 주로 개인투자자를 상대하게 된다. 사업적인 측면에서 기술력을 증명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파라오 슬롯사로서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 기업의 영속성 또한 유지해야 하는 미션도 당연히 부여되는 것이다.

하지만 신약 개발 바이오 벤처가 상업화하는데까지 오랜 시간과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사업적인 측면에서 기술력을 증명해 나가는 일과는 달리 파라오 슬롯사로서 영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요건들을 반드시 갖춰야만 하는 과제가 놓여 있다. 기업의 영속성에 '빨간 불'이 켜진 상황인 파라오 슬롯 폐지의 경우는 논외로 하더라도 많은 파라오 슬롯 바이오 벤처는 관리종목 지정을 회피하기 위한 재무적 활동이 요구되는 것이 사실이다.

앞서 기술했던 것처럼 관리종목 지정 사유인 법차손 요건에 해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유상증자나 메자닌 발행 등을 통한 자본 확충에 필사적일 수밖에 없다. 올해 들어 바이오 투자 시장에 혹한기가 찾아오면서 비파라오 슬롯사뿐만 아니라 파라오 슬롯사도 펀딩(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고 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라는 카드를 통해 파라오 슬롯사들은 개인투자자를 비롯한 주주들에게 손을 벌리며 자본 확충에 나서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악화된 투자심리로 인해 주가가 계속 하락함에 따라 그 결과 당초 모집하고자 했던 금액조차도 조달하지 못하는 경우(EDGC 사례)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결국 예상했던 만큼의 자본 확충에 실패하면서 자기자본은 축소가 되고, 이는 곧 사업적인 측면에서 볼 때 R&D 자금의 부족이자 재무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관리종목 지정 사유인 법차손 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한 파라오 슬롯 전문 회계사는 "재무적인 측면에서만 살펴보면 신약 개발 파라오 슬롯 벤처에 대해 임상개발비의 회계 처리 규정이 기존 '자산화'에서 '비용화'로 변경되면서 상업화를 목전에 둔 임상 3상에 진입하기 전까지는 임상을 열심히 하는 기업일수록 손실 증가가 불가피하다"며 "기존에는 자산으로 인식되던 임상개발비가 비용으로 인식되면서 임상을 열심히 할수록 손실은 증가할 수밖에 없고, 이는 곧 재무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관리종목 사유인 법차손 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을 높이는 '트리거(방아쇠)'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술특례파라오 슬롯의 경우 3년간 자본금 규정에 완화 조치를 해주는데, 이러한 특례 기간을 좀 더 연장해 주는 것도 방법일 것 같다"며 "임상 전기 단계에서 임상 후기로 넘어가는데까지 최소 2년 정도 걸린다고 볼 때 법차손 적용 유예기간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2년 연장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파인메딕스 "글로벌 소화기 파라오 슬롯 시술 기구 기업으로